거짓말을 알아채기 어려운 이유


심리 테스트 라인에서 거짓말과 진실의 두 그룹의 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심리학 실험실 연구에 따르면 다른 사람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확률은 불행하게도 확률 수준보다 약간 높은 55% 정도에 불과합니다.

수사경찰의 피의자 거짓말 적발 능력이 일반인보다 약간 높은 65~70%라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항상 기대만큼 정확하게 거짓말을 적발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거짓말의 증거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우리는 거짓말쟁이가 거짓말을 할 때 상대방을 외면하거나, 눈을 깜박이거나, 코를 만지거나, 목소리를 맑게 하거나, 손발을 움직인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심리학 실험에 따르면 진실을 말하라는 그룹의 사람들과 거짓말을 하라는 두 그룹의 사람들을 비교할 때 점쟁이와 거짓말쟁이가 그러한 행동을 보이는 빈도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거짓말을 할 때 상대방을 외면하는 사람도 있고, 누워서 상대방의 눈을 똑바로 응시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로 개인차가 심하다.

다른 실험에서는 거짓말쟁이가 진실을 말할 때보다 팔, 손, 손가락을 덜 움직이는 경향이 있고, 눈을 덜 깜박이며, 목소리가 더 세거나 더 높은 톤의 말을 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심리 실험뿐만 아니라 범죄 수사를 맡은 경찰의 수사 현장을 기록하고 분석한 현장 연구 결과에도 반영되었다.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나중에 심문 과정에서 유죄 또는 무죄로 판명된 사람들의 행동을 비교한 결과, 거짓말쟁이는 이전 이야기와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는데, 이로 인해 정보 처리 및 인지 부하가 ​​증가합니다.

그 결과 신체 움직임이 적고 말을 할 때 더 많이 멈추고 말 실수가 줄었습니다.

또한 거짓말쟁이는 이미 말한 내용으로 돌아가 이전에 잊어버렸거나 부정확한 세부 사항을 추가할 가능성이 적었습니다.

또한 소유권을 나타내는 1인칭 단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이해하다”와 같은 인지적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모든 거짓말쟁이가 공유하는 공통된 성격 특성을 찾기는 어렵지만, 교활하고 마키아벨리적인 성격, 외향적이며 다른 사람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싶어하는 성취도가 높은 사람은 거짓말을 할 가능성이 더 큽니다.

게다가 한 번 거짓말을 한 사람은 두 번째 기회가 주어지면 75%의 확률로 다시 거짓말을 하고, 일주일 안에 자신의 거짓말 중 20% 정도만 잡힐 것이라고 두려움 없이 생각한다.

그들은 사람들을 속인 것에 대해 두려움, 죄책감 또는 기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 때문에 표정이 급격하게 바뀌지만 그 순간이 너무 짧아서 대부분의 관찰자는 눈치채지도 못한다.

거짓말쟁이의 심한 경우는 처음에는 자신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점차 자신의 역할에 몰입하여 자신의 거짓말이 사실에 입각한 설명이라고 믿고 자신의 말과 얼굴을 다른 사람에게 매우 신뢰할 수 있게 만듭니다.

극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 모든 사람들이 그러한 작은 힌트에 큰 중요성을 부여하고 상대방을 신뢰하도록 강요받는다는 것을 아는 진화적으로 획득된 방법입니다.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이정모 교수)
출처: 조선일보 과학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