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새별초등학교



청주 샛별초등학교 도서관 환경개선사업은 충청북도 청주교육청에서 발주한 행복감성 NEW SPACE 학교공간 혁신사업을 통해 실현되었다.

사용자 참여 디자인을 위한 학생 워크샵을 통해 사용자 의견을 도출하고 계획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학생 및 교직원과의 협의를 통해 협업의 결과물로 설계되었습니다.

본 프로젝트는 이용자와의 잦은 소통을 통해 (책이 매개하는 어린이 놀이 공간)의 개념을 도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어린이 놀이 공간의 공간 모델을 적용하였다.

초등학교의 특성상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교감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 아이들의 성장발달에 훨씬 유리합니다.

놀이는 두뇌 발달과 건강한 신체 발달에 필수적이며,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사회화 과정을 통해 자아를 발달시킵니다.

초등학교 도서관은 지식 습득을 위한 학습 공간의 개념이 아닌 관심과 관심을 유도하여 책과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책을 통한 놀이 공간을 구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다행히 첫 만남부터 이용자인 학생과 교직원들은 도서관을 학습 공간으로서의 효율성보다는 휴식과 놀이를 위한 공간으로 바꾸고자 하는 욕구가 훨씬 더 컸고, 그들의 의견을 매우 잘 통합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쉽게. 그 결과 아이들이 원하는 다양한 공간을 모아 구슬을 꿰듯 적절하게 조합해 동선과 공간을 만들었다.

이 프로젝트에 적용한 아이들이 좋아하는 공간 모델은 높은 곳, 특이한 곳, 둘러싸인 곳이다.

주로 어린이시설에서 관찰조사를 통해 파악된 어린이들로 구성되어 활용도가 높은 공간모형입니다.

높은 곳은 서식지 선택의 조건으로, 눈에 잘 띄지 않지만 타인의 움직임을 잘 관찰하는 동물의 본능적인 선택 기준이다.

또한, 다른 곳은 주변과 레벨이나 색상, 재질이 다른 곳을 말하며, 바닥에 돗자리 하나나 계단식 공간만 있어도 항상 거기에 모이는 습관이 있다.

밀폐된 공간은 아이들만의 아지트 공간입니다.

측량, 스케치 등의 워크숍을 통해 도출된 공간도 다층 구조, 골방, 경사매트, 동굴 등 이러한 공간 모델로 설명할 수 있는 것들이었습니다.

이러한 공간을 결합하는 방식은 풍만한 구조의 이론을 적용한 것이다.

스릴 공간, 지름길 등 다양한 공간을 순환선으로 연결한 공간 모델입니다.

아이들은 이 공간에서 뛰어다니고 노는 것을 좋아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공간을 2층과 연결하여 동선을 따라 빙글빙글 돌면서 체험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동선의 놀이공간은 미로, 은신처, 월매트, 해먹, 미끄럼틀 등으로 구성되어 상층과 하층을 순환하도록 설계되었다.

여기에 해먹과 미끄럼틀은 스릴 공간의 역할을 하고, 경사진 매트와 원형 책장은 동선으로 연결된 크고 작은 광장이다.

또한 아이들이 좋아하는 공간모형의 3요소는 천정고를 높여주는 노출천장과 복층으로 구성하여 위층은 높은 곳과 아래층(아지트 공간)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연출한다.

), 매트, 계단식 공간, 경사진 바닥으로 색다른 공간을 연출했다.